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게실염 증상 및 진단

by remoni 2019. 12. 3.

게실염 증상 및 진단 

 

생소한 단어인데 몸의 어느 부위에 어떤 증상으로 나타나는 질환일까요? 오늘은 특히 대장 게실염 증상 위주로 그리고 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원인과 어떤 증상이 있으면 게실염 진단 나오게 되는지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장 게실염 이란 대장벽 일부가 바깥으로 봉투모양으로 볼록 튀어나온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없지만 대장내시경 등으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하는데 사실 원칙적으로 증상이 없다는 사람에게는 치료는 별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변이 쌓이거나 해서 염증을 일으켜 복통과 열, 하혈을 초래하게 되는 게실염 증상 나타나면 치료를 해야 하는 등으로 구분이 되므로 어떤 증상이 나와야 진단 및 치료를 하게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대장 게실염 증상 중 염증이 없는 경우는 대부분이 무증상입니다. 만약 증상이 있다면 장관운동이상에 동반되는 복통과 복부불쾌감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대장 게실염 증상 중 염증이 합병된 경우는 출혈로 인한 혈변과 발열 그리고 국부 복통 등이 나타납니다. 

 

게실을 합병하고 있을 때의 게실염 증상 혹은 상태는 천공, 복막염 등이 있을때는 열과 심한 복통을 호소합니다. 이때 치료가 늦어지면 생명이 위험해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다발게실, 고령자에게 많이 나타나는 게실염 증상 에는 출혈이 심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근층비후, 폐색, 결장주위농양 등이 있습니다. 

 

게실염 증상 으로 대장 게실 출혈은 복통이 없고 갑작기 선명한 빨간색에서 암적색 혈변으로 나타납니다. 고령자인 경우는 항혈소판약이나 항응고제, 소염진통제 등을 투여하고 있는 경우 많이 나타납니다. 

 

대장벽을 혈관이 관통하는 부분에 대장게실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출혈이라는 게실염 증상 나타나게 됩니다.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지혈되지만 수혈이 필요할 만큼 출혈이 심한 경우나 다시 또 피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장 게실염 증상 에는 복부 통증과 설사, 변비 등이 있습니다. 특히 상행결장의 경우는 오른쪽 옆구리, S자결장의 경우는 왼쪽 하복부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런 게실염 증상 에서는 염증이 그다지 심하지 않을 경우는 복부가 주기적으로 아프고 설사나 변비가 있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심해지면 지속적인 복통이 나타나고 열이 납니다. 

그리고 더 심해진 게실염 증상 에는 게실에 구멍이 나고 복강내로 변이 흘러나와 복막염과 결장주위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상태가 되면 복통이 심해지면서 쇼크상태로 빠질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심해진 게실염 증상 에서 적절한 치료와 대처가 없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S자 결장의 경우는 특히 중증으로 발전하기 쉬운 경향이 있으므로 왼쪽 하복부에 통증이 심할 경우 빠른 진단 및 치료,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장 게실염 증상 에서는 복통과 발열, 구토와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검사에서는 염증반응이 나타납니다. CT나 복부초음파 등올 게실염 진단 받게 됩니다. 

대장 게실염 증상 이후 진짜 게실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초음파와 CT를 찍습니다. 그리고 게실 유무를 조사하는 경우는 대장내시경검사 등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진단을 위한 검사 등은 게실염 증상 심한 경우 실시하면 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검사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출혈을 동반할 경우는 어디서 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긴급내시경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특히 게실염 증상 심하거나 염증반응이 심한 경우는 입원해 금식을 하고 수액을 맞으면서 항균약을 투여하게 됩니다. 농이 쌓이거나 구멍이 나거나 복막염을 일으킨 경우는 농을 빼기 위해 관을 끼우기도 하고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만성 게실염 증상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복통과 복푸팽만감, 설사, 변비 등의 대장운동과 관계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번적으로는 식이섬유 및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배변 습관을 고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