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 증상 질의응답
항상 컴퓨터를 쳐다보거나 스마트폰을 쳐다보고 있다보면 목이 뻐근하고 돌리다가 보면 뻐걱하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혹시 목디스크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들 때도 있는데요 과연 어떤 증상 나타나야 진단이 내려지게 될까요?
목과 어깨 팔까지 이어지는 통증과 저리는 증상 등이 나타나는데요 이렇게 진행되면 젓가락을 제대로 사용하기 힘들어하고 단추를 잠그는데도 시간이 걸리는 등 일상생활에서 지장이 나타나기도 하는 목디스크 관련해서 원인과 진단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추추간판헤르니아라 불리는 이 병은 추간판헤르니아가 허리디스크인 것처럼 경추이므로 목디스크 입니다. 우리 몸의 경추는 7개이며 그 사이를 잇는 쿠션인 추간판 속에 존재하는 수핵이라는 젤같은 조직이 밖으로 튀어나온 상태를 말합니다.
밖으로 튀어나온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면서 여러 증상 야기시키는데 노화로 인한 변성과 불량한 자세와 심한 운동 등으로 인한 부담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허리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목디스크 또한 추간판에의 압력이 주 원인이 됩니다. 가동성이 큰 부위인데다가 구조상 요추보다 외부부담에 더 약합니다.
물론 허리와는 달리 목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하는 직접 부담과는 관계없지만 항상 무거운 머리를 위에 올리고 있과 불량한 자세와 외부 충격과 부담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곳입니다.
목디스크 증상 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가벼운 경우는 목의 통증과 어깨결림, 가벼운 손저림 등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서서히 뒤로 제끼거나 하는 동작을 못하게 되기도 하고 팔이나 손에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좀 더 자세히 증상 살펴보겠습니다. 튀어나온 추간판이 척수 자체를 어느 정도 압박하고 있는지 혹은 어떤 신경과 신경근을 압박하고 있는지에 따라 약간씩 나타나는 증상 달라집니다.
압박정도가 가벼울 때는 뒷목과 어깨, 팔이 아프고 저립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에 가벼운 목디스크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압박받는 신경 장소에 따라 한쪽 팔만 저리고 한쪽 어깨만 아프다고 느껴지기도 합니다. 신경에의 압박이 심해지면 손발 움직임이 나빠지고 마비와 같은 심한 증상 으로까지 진행됩니다.
한쪽 어깨나 손 등 특정 영역에서 심한 통증과 방산통, 저림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는 잠잘 때의 자세 등이 문제가 되는 것과 비슷한 둔통, 위화감 등의 후경부증상 보입니다. 그러다가 손과 어깨에 심한 방산통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이런 목디스크 경우는 약 2~3주 정도 지나면서 가장 심해지고 둔한 통증과 저리기는 하지만 몇달 정도 지나면서 개선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다른 목디스크 에서는 양손 모두에서 저림이 느껴지고 양손을 사용하는 동작이나 작업이 서서히 둔해지고 양발의 발끝에서부터 점점 저림을 느끼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서 부자연스럽게 걷기도 하는 등의 모습이 며칠에서 몇주간 시간이 지나면서 급속하게 진행되기도 합니다.
목디스크 악화되면 팔과 손에서 감각이 사라지는 느낌이 들며 악력을 비롯해 근력이 떨어집니다. 손을 사용하는 특히 손끝으로 하는 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반신에까지 증상 나타납니다.
더 심해지면 방광직장장애라고 해서 대소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거나 반대로 빈뇨나 실금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목디스크 잘 걸리는 사람은 남성이 좀 더 많은 편이며 20대에서 70대까지 각 연령층에서 나타납니다. 가장 많은 층은 역시 30~50대입니다.
언제부터 계기는 있는지, 다른 질병은 없는지, 어디가 아픈지, 언제 아픈지, 어떤 자세일 때 가장 아픈지 등의 증상 정도와 저리는지 힘은 들어가는지 신경학적인 소견을 더해서 진단 내려지며 여기에 X-ray, CT, MRI 등의 화상검사를 통해 목디스크 진단 확실하게 내릴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인 경과를 보면 한쪽 팔에서의 방산통만 있는 경우는 보존적 요법과 안정으로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마비나 근육위축 등이 동반되는 목디스크 또는 양쪽으로 다 나타나면 진행도 빠르고 정도도 심한 경우가 많아 가능한한 빠른 시기에 수술을 검토하는 등의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