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불편신고앱 안전신문고 통합된다고 합니다.
주차위반이라던가 일상생활 속에서 불편요소가 되는 것을 찍어서 바로 신고할 수 있었던 생활불편신고앱 그리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라고 생각되는 것을 신고하는 안전신문고 앱이 2020년 12월까지 통합된다고 합니다.
어떤 상황을 보았을 때 이것이 생활에 불편한 것인지 안전에 위협이 되는 것인지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020년 하반기에 생활불편신고앱 자체를 안전신문고 앱으로 통합시킨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나뉘어져 있어서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쓰레기 방치 그리고 불법광고물 등의 신고를 하기에는 생활불편신고앱 사용이 편리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다운로드해서 실생활에 사용하기까지의 과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글플레이 등에서 생활불편신고앱 다운 받아서 설치합니다. 그리고 민원인 즉 자신의 이름과 연락처를 기입합니다. 그리고 인증요청을 한 후 인증과정을 거칩니다.
생활불편신고앱 사용해서 주차, 쓰레기 등등 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것을 신고하는 것이므로 민원인 정보가 확실하고 분명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화번호 등을 한번 더 확인하고 인증을 요청하라는 주의문이 뜹니다.
이제 생활불편신고앱 설치 끝났습니다. 큰 메뉴로 신고, 촬영, 갤러리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불법주정차와 장애인주차구역 불법주차 등의 신고 민원은 정확한 민원처리를 위해 앱 전용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만 첨부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생활불편신고앱 이용해서 신고할 수 있는 것에는 불법주차, 불법정차, 장애인전용불법주자, 불법광고물, 쓰레기 방치 및 투기, 도로/시설물파손, 가로등/신호등고장, 환경오염행위, 자전거불편, 도로/건물지점번호판훼손, 청소년유해업소, 에너지과소비, 기타불편 등이 있습니다.
그럼 생활불편신고앱 이용해서 불법주차 차량을 신고해 볼까요? 앱을 실행시켜서 왼쪽 상단의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민원신고, 나의 민원, 사용안내, 환경설정 등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민원신고 불법주차를 선택합니다.
생활불편신고앱 에서 불법주차 선택하면 위와같이 나타납니다. 파일첨부를 하게 되는 것은 즉 사진을 첨부하는 것입니다. 불법주정차, 장애인주차구역 불법주차 신고는 사진촬영, 생활불편신고갤러리에서만 사진을 골라서 첨부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의 스마트폰 갤러리나 앨범에 있는 사진을 이용할 수는 없습니다.
생활불편신고앱 이용해 불법주차 신고를 합니다. 계속 언급했듯이 바로 그 상황을 찍어서 보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찍은 사진을 첨부하고 신고내용을 기재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위치를 켜놓고 있으면 대략적인 위치까지 다 알아서 기록되어집니다.
불법주차된 차량을 발견하고 신고해야겠다 싶어 생활불편신고앱 활용해서 사진을 그 자리에서 찍어서 신고내용까지 입력한 후 신고하기 누르면 됩니다. 신고위치는 스마트폰에서 위치 설정해 두면 거의 정확하게 파악이 됩니다. 만약 좀 다르다 싶으면 직접 선택해서 적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활불편신고앱 이용해 불법주차 신고를 한 후 확인을 해보고 싶다면 다시 첫 화면에서 왼쪽 상단을 내메뉴로 들어가 나의민원을 선택합니다.
생활불편신고앱 활용해서 내가 신고했던 내용들을 한눈에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신고한 민원목록이 조회되는데 이 중에서 접수 라고 되어 있는 것은 시스템에 등록되었다는 것이며 처리중은 관할 지자체로 민원데이터가 전송완료되었다는 뜻입니다. 답변완료는 말 그대로 처리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생활불편신고앱 활용해서 신고한 후 처리된 내용까지 다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답변과 그 답변에 대한 만족도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얼마남지 않은 앱이기는 하지만 앞으로 안전신문고 앱과 통합된다고 해도 이 앱은 계속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르고 하반기에 통합되기 전까지는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