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PW증후군, 조기흥분증후군 증상 및 원인

by remoni 2020. 2. 26.

WPW증후군, 조기흥분증후군 증상 및 원인 




지난주의 김사부에 나왔던 병명인 WPW증후군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아주 멀쩡해 보였던 남자가 췌장염? 인가요 그런 수술을 받기 전에 이 병 즉 조기흥분증후군 이라는 병 때문에 수수을 하니 마니 하는 장면들이 나오더라구요. 

사실 한국말로 되어 있는 병명만으로는 흥분을 빨리 하는 성향? 다혈질? 뭐 이런건가? 그런데 왜 그런걸로 수술을 못한다하지? 하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이 WPW증후군 이라는 것 진짜 감정적으로 흥분하는 것과는 완전 다른 것이더라구요. 병명을 고치던가 아니면 그냥 영어이름을 쓰는 것이 덜 오해받는 병이 될 듯 합니다. 

월프 파킨슨 화이트 증후군에서 앞글자 하나씩 떼어서 만든 WPW증후군 이라는 것은 심실조기흥분증후군이라고도 하며 김사부에서는 조기흥분증후군 이라고 표기되어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WPW증후군 이란 맥박과 관련있는 심장질환이라는 것입니다. 빈맥은 일반인에 비해 맥박수가 극단적으로 많은 상태로 대개 1분간 100회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이 증상이 계속되면 빈혈성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WPW증후군 증상은 부정맥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심전도를 찍어보면 알수있는데 갑자기 빈맥이 나타나거나 하면서 알 수 있습니다. 

WPW증후군 이란 심방과 심실과의 사이에 정상적인 전도로와는 달리 부전도로라는 작은 전도로가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전도로란 전기신호 전달통로를 말하는 것으로 즉 심방과 심실 사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 전달통로인 부전도로, 부회로가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아주 간단간략하게 다시한번 이 조기흥분증후군 이라는 질환을 정리하자면 정상인과는 달리 심장에 혈관 하나가 더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로인해 그 혈관으로 피가 새기도 하고 빈맥이 발생하는 심장질환입니다. 

WPW증후군 간략하게 보면 그리 심각한 질환은 아닙니다. 따라서 일상적인 생활에 어떤 지장도 없습니다. 평생 큰 문제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빈맥발작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WPW증후군 발작은 갑자기 맥박이 빨라지는 빈맥 그리고 그 맥이 잠시간 계속된 후 갑자기 멈추는 증상입니다. 갑자기 생겼다가 갑자기 멈추는 가슴두근거림, 흉부위화감, 불쾌감 등을 자각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WPW증후군 발작은 빈맥으로 혈압이 떨어지면서 어지럼증이나 눈 앞이 깜깜해지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실신을 하는 경우도 아주 극히 드물게는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빈맥이 오래 지속되면 심기능이 떨어져 심부전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WPW증후군 빈맥발작은 정상적인 전도로와 부전도로 사이에서 흥분회로가 생겨서 발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여성은 출산을 할 때 이것이 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다만 생명의 위험은 없습니다. 

두번째로 WPW증후군 빈맥발작은 고령이 되면 심방세동이라는 부정맥이 일어나면서 빈맥이 생기면서 심부전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위험한 상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이러한 WPW증후군 원인인 부전도로가 있는 이유는 선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은 자각증상이 없으며 가끔 병적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해서 심전도를 찍어보고 빈맥이 있거나 부정맥으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WPW증후군 증상은 심전도 검사로 진단을 합니다. 하지만 심전도로 진단할때 약 반정도의 사람은 무증후성 즉 빈맥발작이 한번도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발작할 때 심전도가 규칙적으로 빈맥을 나타낸 경우 조기흥분증후군 이라 진단받게 됩니다. 

그러면 어떤 치료법이 있을까요? 



사실 이 WPW증후군 이란 증상이 없기도 하고 짧은 시간에 발작이 멈추기도 해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증상이 없어도 빈맥이 오래 계속되면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WPW증후군 발작 계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갑자기 자세를 바꾸거나 운동을 할 때 혹은 그냥 눕는 것 만으로도 발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조기흥분증후군 환자라는 것을 알고있다면 급격한 자세 변환, 과격한 동작 등은 가능한한 피해야 합니다. 그것이 예방이 됩니다.

댓글